샤토 콥사 Chateau Copsa
불가리아 – 로즈밸리의 숨겨진 보석
* 사진의 우측 끝의 여성 Petia
샤토 콥사 와이너리는 불가리아 로즈밸리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민코프(Minkov) 가문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세대를 거쳐 3대째인 페티야(Petia)가 대표로, 와인 만들기를 예술로 여기는 우아함을 가진 인물입니다.
포도 재배에서 바틀링까지 와인 제조 전 과정을 자신들의 손으로 생산하는 패밀리로서,
헌신과 인내를 바탕으로 최고의 테루아에서 품질 높은 와인을 생산합니다.
샤또 페트뤼스, 샤또 라뚜르 포도밭의 장미나무
프랑스 와이너리 포도밭의 장미를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장미와 포도는 잘 자라는데 필요한 떼루아가 유사합니다.
그런데 장미는 포도나무보다 병충해에 취약합니다. 이 특성을 이용하여 생산자들은, 장미를 포도밭의 앞뒤에 심어 질병에 대한 인디케이터(지표)로 사용합니다. 포도의 병충해가 돌기전 먼저 시들어버리기는 장미를 이용하여 포도 재배자들은 병충해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게 되는것이죠. 그만큼 재배하기 더 어려운 장미도 잘 키우는 불가리아이기에 섬세함과 정교함을 갖춘 포도 농사 역시 매우 잘 해내고 있습니다.
샤토 콥사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로즈 오일과 에센스를 대량 생산하는 로즈벨리 지역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장미생산 1위국가 불가리아에서도 최상품의 장미를 장만드는 지역입니다.
로즈벨리의 로즈 오일, 로즈 에센스는 에스띠 로더, 로레알과 같은 글로벌 코스메틱 기업들이 입도선매하여 사들이죠.
와이너리가 위치한 로즈밸리의 특별한 환경은 상쾌한 부케와 장미, 라벤더, 아로마틱 허브의 향을 와인에 더해줍니다.
지속가능성을 생각하는 민코프 가문은, 자손들을 위해 최고의 떼루아를 골랐는데,
남향의 햇살이 따사롭게 비추고 발칸 산맥에서 불어오는 시워한 미풍이 더위를 식혀줍니다.
불가리에 와인산지 중 로즈밸리는 쿨 클라이밋(서늘한 기후)을 가지고 있기에 좋은 산도를 얻을수 있습니다.
샤또 콥사는 위 사진에서 보시는 것처럼 중세 성의 같은 외양을 갖추고 있습니다. 지하에는 완벽한 셀러를 갖춘 것은 물론, 시설은 완전히 현대적인지라 매우 편리하고 편안합니다. 호텔과 레스토랑으로도 운영되므로 불가리아 여행을 가신다면 반드시 방문해보시기 권해드립니다. 가장 좋을때는 장미 축제가 열리는 5월입니다.
와인 메이커 - 마들렌 쿠즈마노브
샤토 콥사의 모든 와인 제작은 여성 와인 메이커인 마들렌 쿠즈마노브(Madlen Kuzmanov)가 책임집니다.
그녀는 섬세한 감각을 바탕으로 현대 불가리아 와인의 새로운 중흥기를 이끌고 있으며,
2021년에는 불가리아 생산자로서의 최고의 영예인 와인메이커오브더이어 상을 수상했습니다.
Chateau Copsa 6IX
식스 2020
이 화이트 와인은 샤또 콥사의 리미티드 에디션이고, 6개의 선택된 최고의 배럴에서 유래된 이름 입니다.
배럴당 300병 가량이 만들어지기에 연간 1800병만 만들어지는 리미티드 에디션입니다. 세계 최고의 와인으로 꼽히는 로마네 꽁티의 생산량이 연간 6천병이니, 얼마나 작은 양인지 알수 있으며 그중 한국으로 1500여병이 수입됩니다만, 수입 되는 한때만 구입 가능하고 바로 솔드아웃 되어 1년을 기다려야 하는 루얼의 최고 베스트 셀러 와인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라벨에 적혀 있듯이 샤도네이 품종 100%이며 배럴 발효 Barrel Fermented 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발효 단계부터 오크통에서 진행한것으로, 대부분의 와인들은 스테인레스통에서 발효시키지만, 부르고뉴의 고급 화이트 와인의 경우 오크통에서 발효시킵니다. 오크통 발효는 비용이 많이 들고, 위험하며,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지만 매우 만족스러운 오크향과 균형잡힌 플레이버등을 얻을 수 있습니다. 레드 와인의 경우 오크통 발효는 거의 안 합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부르고뉴의 최정상급 화이트 와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만한 수준의 화이트 와인이 탄생했습니다.
컬러는 샤도네이의 가장 좋은 예인 전형적인 황금색입니다.
까브드맹 맹상호님의 테이스팅 노트입니다.
"아주 농익은 사과와 노란 열대 과일 향이 나오고 나무 수지와 흰꽃의 향긋한 향이 함께 합니다. 머스캣(muscat)과 바나나, 바닐라, 모과 같은 달콤한 향에 버터를 넣은 쿠키와 팝콘의 고소한 향도 풍깁니다.
나중엔 약하게 볶은 커피콩의 고소한 향도 퍼지죠. 깔끔하고 매끄러우며 탄탄하지만, 싱그럽고 상쾌하기도 합니다. 중간보다 약간 더 무겁고 입안 가득 볼륨감이 느껴지네요. 마신 후엔 오크의 탄닌 느낌이 미세하게 남습니다.
드라이하고 노란 과일의 짜릿한 신맛이 나옵니다. 소나무 같은 향긋한 나무 풍미가 물씬 퍼지고, 송진 느낌도 약간 있군요, 바나나와 바닐라 같은 부드럽고 달콤한 풍미에 린덴과 호손 같은 꽃, 밀랍, 미네랄 느낌이 풍성합니다. 점점 진한 사과 과즙 같은 달콤한 풍미와 함께 버터를 넣은 부드럽고 고소한 과자 풍미가 나옵니다.
여운은 길고 나무와 모과, 바나나, 노랗거나 흰 꽃 같은 다양한 풍미가 남습니다. 짜릿하고 풍성한 산미와 알맞은 힘을 가진 13.5%의 알코올이 멋진 균형을 이룹니다. 무엇보다 오크 숙성한 샤르도네 와인에서 기대할 수 있는 수많은 향과 풍미가 코와 혀를 황홀하게 어지럽히네요."
결론적으로 신선하고 활기차며 감귤, 바닐라 및 이국적인 과일 향이 풍성한 탁월한 와인입니다. 오크 터치로 인하여 버터, 헤이즐넛, 토스트 향과 맛이 납니다만 미국 샤도네이처럼 지나치게 느끼하지 않고 깔끔하게 딱 끊어주는! 멋진 화이트입니다.
미디엄 바디이며 미네랄이 풍부하고 섬세한 맛과 조화를 이루는 사랑스럽고 풍부한 부드러운 팔레트를 보여줍니다.
자체적으로 즐겨도 훌륭하고, 생선 스타터, 부르고뉴 달팽이, 크림 버터 드레싱과 함께 구워낸 생선 구이등과도 아주 잘 어울립니다.
여성 와인 메이커인 마들렌 쿠즈마노브 Madlen Kuzmanov가 2005년 와이너리의 시작과 함께 모든 와인 메이킹을 책임지고 있으며 그녀의 섬세한 감각에서 태어난 현대 불가리아 와인은 새로운 중흥기를 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 판매 후 이 와인을 구입하신 고객님께서 올려주신 사진입니다.
옆에 놓인 와인들을 보면 이 와인에 대한 평가를 아실수 있을것입니다 ^^
비비노 평점은 4.4입니다
불가리아에서 직접 한국까지 항공으로 운송하였고 냉장 창고에 보관하였습니다. 일반 컨테이너 운송을 할 경우 많은 비용이 절감 되지만, 와인 퀄리티가 나빠질수도 있기에 저희 루얼은 택하고 있지 않습니다. 참고로 한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와인중 일반 컨테이너가 70%, 항공 운송이 20%, 리퍼(냉장) 컨테이너가 10%의 비율입니다.
국세청에서 2020년 4월 3일부로 고시한 "주류의 통신판매에 관한 명령 위임"에 따라 스마트오더를 이용한 주류 판매가 허용 되었습니다. 스마트오더란 고객이 웹, 모바일 등을 통해 주문·결제한 상품을 매장에서 직접 찾아가는 형태입니다. 이에 루얼 홈페이지에서 구입하신 와인은 루얼 잠실새내에서 픽업 가능합니다.
샤또 콥사 식스 2020